link 세부 정보
정보 바로가기 : 산성비의 저주
산성비의 저주[카테고리 설정이 아직되어 있지 않습니다.]
김용수 () [경인일보=]산성비란 말 그대로 빗물이 산성을 띠는 것을 뜻하며, Ph 수치가 5.6 미만인 경우를 산성비라고 한다. Ph 값은 물속에 녹아있는 수소 이온의 농도를 수치화한 것으로 7.0이 중성이며, 이보다 수치가 작으면 산성, 높으면 염기성이 된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 내리는 비의 산성도는 어떻게 될까? 또한 공기가 깨끗한 시골지역의 산성.. ..황사는 잘 발생하지 않는다.....황사 발원지에 나타나게 되면 건조해진 지면의 모래먼지들이 바람을.. 황사가 한 차례 발생할 때마다 약 100만t의 토양입자가 날리게 되며, 이 중 한반도에는 약 5만~9만t가량이 쌓이게 된다...하지만 황사와 함께 날아오는 중국의 공업단지에서 배출되는 각종 오염물질들 때문에 이런 황사의 이로운 점도 묻혀버리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