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k 세부 정보
정보 바로가기 : [작은갤러리] 제주숨다관
[작은갤러리] 제주숨다관[카테고리 설정이 아직되어 있지 않습니다.]
오창윤 도자기전 '다락(茶樂)' (17일까지, 서울 관훈동 성보갤러리.02-730-8478) 그릇은 환경에 적응한다. 이를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이 옹기다. 제주에는 다른 지역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기형을 갖는 '물허벅'이 있다. 전라도의 옹기가 제주로 유입돼 제주의 환경을 만나 새로운 형태의 그릇을 만든다. 제주 흙이 갖는 환경적 특징, 이 점을 .. [작은갤러리] 제주숨다관 오창윤 도자기전 ..'다락(茶樂)' .. ..(17일까지, 서울 관훈동 성보갤러리.02-7..그릇은 환경에 적응한다... 전라도의 옹기가 제주로 유입돼 제주의 환경을 만나 새로운 형태의 그릇을 만든다... 제주 흙이 갖는 환경적 특징, 이 점을 살려 작업했다... 우리 흙으로 우리 환경에 맞는 기능의 다구를 만들어 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