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k 세부 정보
정보 바로가기 : [물의 시대](4·끝)-③용천수 체계적 관리를
[물의 시대](4·끝)-③용천수 체계적 관리를[카테고리 설정이 아직되어 있지 않습니다.]
애월읍 구시물·김녕 청굴물 등 관리·보존 잘돼통일된 관리시스템·제도적 장치 마련 급선무 ▶모범 사례=제주시 애월읍 상귀리 항몽유적지 인근에는 비교적 정비·관리가 잘 되고 있는 용천수가 있다. 바로 구시물과 장수물이다. 두 용천수 모두 역사적 유래를 갖고 있는가 하면 행정에서 정기적으로 관리를 하고 있어 타 지역 용천수에 비해 잘 보존된 모습을 보여주고.. ..환경정비에 의무적으로 나서고 있다"며 .. 그리고 주변 환경 등을 고려하지도 않고 현대적인 측면을 고려하면서 오히려 수량감소, 수질악화 등 마을 주민들로부터 외면당하는 용천수도 생겨나고 있다... 반면 용천수 주변을 잘 정리하여 수변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공원으로 지역주민은 물론 관광객도 찾고 있는 용천수가 있기도 하다 ....환경·경관 등 특이성, 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