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k 세부 정보
정보 바로가기 : 정부, K-게임 제대로 키운다… "중국 판호 발급 확대"
정부, K-게임 제대로 키운다… "중국 판호 발급 확대"[카테고리 설정이 아직되어 있지 않습니다.]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지난 1일 서울 강남구 한국게임산업협회 회의실에서 게임업계 관계자들을 만나 간담회를 가졌다. /사진=임한별 기자 정부가 게임업계와 만남을 갖고 규제혁신을 약속했다. 게임이 K-콘텐츠의 핵심으로 자리잡은 만큼 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목표다.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지난 1일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한국게임산업협회에서 게임업계와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간담회엔 강신철 한국게임산업협회 회장과 황성익 한국모바일게임협회 회장, 정석희 한국게임개발자협회 회장, 윤상규 한국VR·AR콘텐츠진흥협회 회장, 배태근 네오위즈 대표, 이정헌 넥슨코리아 대표, 도기욱 넷마블 대표, 성준호 스마일게이트 엔터테인먼트 대표, 김태영 웹젠 대표, 조계현 카카오게임즈 대표, 이용국 컴투스홀딩스 대표,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 허진영 펄어비스 대표, 김상호 NHN빅풋 대표, 안용균 엔씨소프트 전무 등이 참석했다. 박 장관은 대표적인 한류 콘텐츠인 게임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규제혁신을 약속했다. 그는 "K-콘텐츠의 글로벌 장악력을 따지면 단연 게임이 그 장악력의 맨 앞에 있다"면서 "K-게임은 우리 콘텐츠 수출의 70%를 차지하면서 대한민국이 콘텐츠 매력 국가라는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게임산업 규제를 혁신하고 판호 발급 확대에 노력하겠다"며 "윤석열 정부에서 게임산업은 확실히 발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게임업계는 산업 경쟁력 회복과 재도약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강신철 회장을 비롯한 업계 관계자들은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와 중국 판호 발급에 대한 적극적 대응, P2E(Play To Earn·돈 버는 게임)의 허용, 주52시간제의 합리적 운영, 인재양성과 중소기업 지원 등을 요청했다. 박 장관은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에 대해 "게임의 자존심 문제"라고 강조하며 업계가 상처를 받지 않도록 앞장서서 게임의 면모를 널리 알리겠다고 말했다. 중국 판호 발급 확대와 대해선 "외교부, 경제부처를 통해 게임업계의 목소리를 실감나게 전달해 정책 우선순위에 놓도록 추진하겠다"고 답했다. P2E게임에 대해서는 신기술과 사행성이라는 양면성이 있으므로 종합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주52시간제는 유연근무제의 확장은 필요하나, '판교의 등대' '크런치 모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어 게임업계에서 선제적으로 대처해달라고 요청했다.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정책적 지원 방안도 고민하겠다고 밝혔다.끝으로 박 장관은 "규제는 선도적, 공세적으로 풀어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면서 "현장의 목소리를 신속하게 전달해달라"고 당부했다.문체부는 규제혁신과 한류 연관 산업 발전을 위해 현장과 소통이 중요하다고 판단해 지난달 22일 관광업계 간담회에 이어 게임업계 간담회를 마련했다. 앞으로 문화예술·콘텐츠 등 분야별 간담회를 통해 업계 일선 종사자 등 현장의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들을 계획이다.